꽃/봄

인디언앵초

lkjea 2014. 5. 16. 13:35

 

* 과명 : 앵초과

* 분포 : 북미동부

* 다년생. 인디언 추장 모자모양의 꽃잎때문에 붙여진 이름.

* 잎 : 뭉쳐나기.앵초와 비슷. 로젯트형태로 총생. 

* 꽃 : 분홍, 4-5월 개화. 50cm정도의 꽃대 아래로 숙인꽃.

* 용도 : 관상용.

* 장소 : 육거리화원(14. 05. 15.)

화서(꽃차례)에 대한 용어

 

 • 취산화서(cyme): 끝마다 마주 갈라지는 꽃대가 나와 각 마디와 끝에 꽃이 달린 것.

    (: 작살나무, 백당나무, 덜꿩나무)

 • 산방상 취산화서(cymose corymb): 산방화서와 취산화서가 합쳐진 것으로 끝마다 마주

   갈라져 쟁반처  퍼진 꽃대가 나와 끝에 꽃이 달린 것(: 궝의비름, 흰말채나무, 보리수)

 • 산방화서(corymb): 어긋나게 갈라져 쟁반처럼 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 것.

   (: 기린초, 왕벚나무, 산사나무)

 • 복산방화서(compound corymb): 산방화서의 변형으로 어긋나게 두 번 갈라져 쟁반처럼 

   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 것(: 마가목, 신나무, 조팝나무)

 • 원추화서(panicle): 어긋나게 갈라지고 갈라져 원뿔처럼 된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

   달린 것. (: 쥐똥나무, 남천, 모감주나무)

 • 산방상 원추화서(corymbose panicle): 산방화서와 원추화서가 합쳐진 것으로 어긋나게

   갈라지고 갈라져 쟁반처럼 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 것.

   (: 뽀리뱅이, 고로쇠나무, 안스리움)

 • 산형화서(umbel): 끝이 우산살처럼 갈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 것.

   (: 생강나무, 미나리, 파꽃)

 • 복산형화서(겹산형화서, compound): 끝이 우산살처럼 두 번 갈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 

   꽃이 달린 것. (: 당근, 인삼, 미나리)

 • 총상화서(raceme):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갈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 것.

   (: 유채, 아까시나무, 냉이)

 • 복총상화서(compound): 총상화서의 변형으로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두 번 갈라진

   꽃대가 나와 끝마다 달린 것. (: 쥐똥나무, 초피나무, 들메나무)

 • 수상화서(spike): 꽃대에 꽃이 이삭처럼 달린 것. (: 질경이, 오이풀, 화본과식물)

 • 수상총상화서: 수상화서와 총상화서가 합쳐진 것으로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갈라진

   꽃대에 꽃이 이삭처럼 달린 것. (: 곰보배추, 사람주나무)

 • 유이화서(유제화서, ament): 꼬리처럼 굽어져 꽃이 달린 것.

   (: 버드나무과, 자작나무과, 참나무과)

 • 두상화서(capitulum): 꽃대 끝에 꽃이 둥글게 뭉쳐서 달린 것.

   (: 개망초, 버즘나무과, 산토끼꽃과)